ITEASY

닫기

추천 검색어
# 클라우드
# VPN
# 무료서비스
# 호스팅
# 이벤트
닫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(ISMS)

2014년 6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

2014. 06. 11

MS14-030] 원격 데스크톱의 취약점으로 인한 변조 문제


영향

  •  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의 데이터를 변조


설명

  •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과 동일한 네트워크에 액세스 권한을 얻은 상태에서 특수하게 조작된 RDP 패킷을 전송하여 활성 RDP 세션의 트래픽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 RDP MAC 취약점 (CVE-2014-0296)
  • 영향 : 원격 코드실행
  • 중요도 : 중요


해당시스템
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 

[MS14-031] TCP 프로토콜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서비스거부 유발


설명

  •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패킷 시퀀스를 대상 시스템에 전송할 경우 서비스 거부를 허용할 수 있는 취약점
  • 관련취약점 : TCP 서비스 거부 취약점 (CVE-2014-1811)
  • 영향 : 서비스 거부
  • 중요도 : 중요


해당시스템
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32] Microsoft Lync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
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의 정보를 유출


설명

  •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모임 URL을 클릭하여 Lync 모임에 참여하려고 시도할 경우 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
  • 관련취약점 :  Lync Server 콘텐츠 삭제 취약점 ? (CVE-2014-1823)
  • 영향 : 정보유출
  • 중요도 : 중요


해당시스템
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33] Microsoft XML Core Services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
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의 정보를 유출


설명

  • 사용자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통해 MSXML(Microsoft XML Core Services)이 실행되도록 특수하게 조작된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 MSXML 엔터티 URI 취약점 (CVE-2014-1816)
  • 영향 : 정보유출
  • 중요도 : 중요


해당시스템
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34] Microsoft Wor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
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


설명

  •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워드 파일을 열 경우 원격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 임베디드 글꼴 취약점 (CVE-2014-2778)
  •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  • 중요도 : 중요


해당시스템
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35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
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


설명

  • 사용자는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Internet Exploer 메모리 손상 취약점 ? (CVE-2014-0282, CVE-2014-1762,CVE-2014-1764,CVE-2014-1766,CVE-2014-1769,CVE-2014-1770,CVE-2014-1771,CVE-2014-1772,CVE-2014-1773,CVE-2014-1774,CVE-2014-1775,CVE-2014-1777,CVE-2014-1778,CVE-2014-1779,CVE-2014-1780,CVE-2014-1781,CVE-2014-1782,CVE-2014-1783,CVE-2014-1784,CVE-2014-1785,CVE-2014-1786,CVE-2014-1788,CVE-2014-1789,CVE-2014-1790,CVE-2014-1791,CVE-2014-1792,CVE-2014-1794,CVE-2014-1795,CVE-2014-1796,CVE-2014-1797,CVE-2014-1799,CVE-2014-1800,CVE-2014-1082,CVE-2014-1803,CVE-2014-1084,CVE-2014-1805,CVE-2014-2753,CVE-2014-2754,CVE-2014-2755,CVE-2014-2756,CVE-2014-2757,CVE-2014-2758,CVE-2014-2759,CVE-2014-2760,CVE-2014-2761,CVE-2014-2763,CVE-2014-2764,CVE-2014-2765,CVE-2014-2766,CVE-2014-2767,CVE-2014-2768,CVE-2014-2769,CVE-2014-2770,CVE-2014-2771,CVE-2014-2772,CVE-2014-2773,CVE-2014-2775,CVE-2014-2776,CVE-2014-2777)
    • TLS 서버 인증서 재협상 취약점 (CVE-2014-1771)
  •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  • 중요도 : 긴급


해당시스템
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36] Microsoft Graphics Component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
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


설명

  •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파일이나 웹페이지를 열면 취약점으로 인해 원격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Unicode Scripts Processor 취약점 ? (CVE-2014-1817)
    • GDI+ Image 파싱 취약점 - (CVE-2014-1818)
      •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      • 중요도 : 긴급


해당시스템
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이전 글 GoZeus, CryptoLocker 악성코드 피해주의

2014. 06. 11

다음 글 아래한글 임의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4. 06. 11

목록

무엇이든 물어보세요

아이티이지 전문가가 궁금하신 점을 쉽고 빠르게 해결해 드리겠습니다.

고객센터 1600-8324
내선번호
  • 내선 1 서버 / IDC

  • 내선 2 클라우드

  • 내선 3 관리대행 / ITO

  • 내선 4 도메인

  • 내선 5 보안 서비스 문의

  • 내선 6 문자 / 카카오비즈메시지

  • 내선 7 Microsoft365

  • 내선 8 마케팅/서비스 제휴

  • 내선 9 홈페이지 제작

  • 내선 0 기타서비스

  • 내선 11 긴급 장애

휴일 긴급 연락처010-3124-8320

평일 9:00~18:00 (IDC 긴급 장애처리 24시간 운영)

FAX 02-6264-8321

문의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