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EASY

닫기

추천 검색어
# 클라우드
# VPN
# 무료서비스
# 호스팅
# 이벤트
닫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(ISMS)

2014년 2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

2014. 02. 17

[MS14-005] Microsoft XML Core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유출

설명

  •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MSXML이 실행되도록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볼 경우 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MSXML 정보유출 취약점 – (CVE-2014-0266)
  • 영향 : 정보 유출
  • 중요도 : 중요

해당시스템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06] IPv6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서비스 거부 발생

설명

  •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대량의 IPv6 패킷을 영향을 받는 시스템으로 보낼 경우 서비스 거부가 발생하는 취약점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IPv6 서비스거부 취약점 – (CVE-2014-0254)
  • 영향 : 서비스 거부
  • 중요도 : 중요

해당시스템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07] Direct2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

설명

  •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GIF 파일을 포함한 웹 페이지를 볼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그래픽 구성요소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4-0263)
  •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  • 중요도 : 긴급

해당시스템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[MS14-008] Microsoft Forefront Protection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

설명

  • 특수하게 조작된 전자 메일 메시지가 스캔된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Forefront Protection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– (CVE-2014-0294)
  •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  • 중요도 : 긴급

해당시스템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[MS14-009] .NET Framework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한 권한을 상승

설명

  •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웹 사이트 또는 특수하게 조작된 웹 콘텐츠를 포함한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 권한 상승이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ASP.NET POST 요청 서비스거부 취약점 – (CVE-2014-0253)
    • .NET Framework 권한상승 취약점 – (CVE-2014-0257)
    • VSAVB7RT ASLR 우회 취약점 – (CVE-2014-0295)
  • 영향 : 권한 상승
  • 중요도 : 중요

해당시스템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[MS14-010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

설명

  • 사용자는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4-0267, CVE-2014-0269, CVE-2014-0270, CVE-2014-0272, CVE-2014-0273, CVE-2014-0274, CVE-2014-0275, CVE-2014-0276, CVE-2014-0277, CVE-2014-0278, CVE-2014-0279, CVE-2014-0280, CVE-2014-0281, CVE-2014-0283, CVE-2014-0284, CVE-2014-0285, CVE-2014-0286, CVE-2014-0287, CVE-2014-0288, CVE-2014-0289, CVE-2014-0290)
    • Internet Explorer 권한상승 취약점 – (CVE-2014-0268)
    • VBScript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4-0271)
    • Internet Explorer 정보 유출 취약점 – (CVE-2014-0293)
  •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  • 중요도 : 긴급

해당시스템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[MS14-011] VBScript 스크립팅 엔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

영향

  •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

설명

  •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VBScript를 포함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원격 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
  • 관련취약점 :
    •  VBScript 메모리 손상 취약점 – (CVE-2014-0271)
  • 영향 : 원격코드 실행
  • 중요도 : 긴급

해당시스템

해결책

  •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


이전 글 2014년 1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

2014. 01. 15

다음 글 MS Internet Explorer 원격코드 실행 신규 취약점 주의 권고

2014. 02. 17

목록

무엇이든 물어보세요

아이티이지 전문가가 궁금하신 점을 쉽고 빠르게 해결해 드리겠습니다.

고객센터 1600-8324
내선번호
  • 내선 1 서버 / IDC

  • 내선 2 클라우드

  • 내선 3 관리대행 / ITO

  • 내선 4 도메인

  • 내선 5 보안 서비스 문의

  • 내선 6 문자 / 카카오비즈메시지

  • 내선 7 Microsoft365

  • 내선 8 마케팅/서비스 제휴

  • 내선 9 홈페이지 제작

  • 내선 0 기타서비스

  • 내선 11 긴급 장애

휴일 긴급 연락처010-3124-8320

평일 9:00~18:00 (IDC 긴급 장애처리 24시간 운영)

FAX 02-6264-8321

문의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