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EASY

닫기

추천 검색어
# 클라우드
# VPN
# 무료서비스
# 호스팅
# 이벤트
닫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(ISMS)

MS 3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9. 03. 21

□ 3월 보안 업데이트 개요(총 15종)
 o 등급 : 긴급(Critical) 8 종, 중요(Important) 5 종, 낮음(Low) 2 종
 o 발표일 : 2019.3.13.(수)
 o 업데이트 내용

제품군중요도영향KB번호
Windows 10, Server 2019, Server 2016, Edge긴급원격코드실행4487006 등 11개
Windows 8.1, Server 2012 R2긴급원격코드실행4489881 등 2개
Windows Server 2012긴급원격코드실행4489891 등 2개
Windows RT 8.1긴급원격코드실행4489881
Windows 7, Server 2008 R2긴급원격코드실행4474419 등 3개
Windows Server 2008긴급원격코드실행4489880 등 2개
Internet Explorer긴급원격코드실행4489878 등 14개
ChakraCore긴급원격코드실행-
Office중요원격코드실행4462226
Visual Studio중요스푸핑-
SharePoint Server, SharePoint Enterprise Server중요스푸핑4462208 등 2개
Lync중요DID2809243
.NET Core중요스푸핑-
Team Foundation Server낮음DID-
Adobe Flash Player낮음DID4489907


 o 참고사이트
- 한글 : 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
- 영문 : 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


1. Windows 10, Server 2019, Server 2016, Edg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3,CVE-2019-0609,CVE-2019-0617,CVE-2019-0678,CVE-2019-0726,CVE-2019-0746,CVE-2019-0756,CVE-2019-0765,CVE-2019-0780,CVE-2019-0784)
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9-0592,CVE-2019-0682,CVE-2019-0689,CVE-2019-0692,CVE-2019-0693,CVE-2019-0694,CVE-2019-0766,CVE-2019-0797)
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9-0690,CVE-2019-0754)
 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9-0612,CVE-2019-0762)
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9-0611,CVE-2019-0614,CVE-2019-0702,CVE-2019-0703,CVE-2019-0704,CVE-2019-0755,CVE-2019-0767,CVE-2019-0774,CVE-2019-0775,CVE-2019-0776,CVE-2019-0779,CVE-2019-0782,CVE-2019-0821)
  - DID 취약점(CVE-2019-0798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 o 관련 KB번호
  - 4487006, 4487011, 4487021, 4487029, 4489899, 4489882, 4489868, 4489872, 4489871, 4489886, 3061064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2. 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3,CVE-2019-0617,CVE-2019-0756,CVE-2019-0765,CVE-2019-0784)
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9-0797)
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9-0690,CVE-2019-0754)
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9-0614,CVE-2019-0703,CVE-2019-0704,CVE-2019-0755,CVE-2019-0759,CVE-2019-0767,CVE-2019-0775,CVE-2019-0782,CVE-2019-0821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 o 관련 KB번호
  - 4489881, 4489883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3.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3,CVE-2019-0617,CVE-2019-0756,CVE-2019-0765,CVE-2019-0784)
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9-0797)
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9-0690,CVE-2019-0754)
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9-0614,CVE-2019-0703,CVE-2019-0704,CVE-2019-0755,CVE-2019-0767,CVE-2019-0775,CVE-2019-0782,CVE-2019-0821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 o 관련 KB번호
  - 4489891, 4489884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4. 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3,CVE-2019-0617,CVE-2019-0756,CVE-2019-0765,CVE-2019-0784)
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9-0797)
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9-0754)
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9-0614,CVE-2019-0703,CVE-2019-0704,CVE-2019-0755,CVE-2019-0767,CVE-2019-0775,CVE-2019-0782,CVE-2019-0821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 o 관련 KB번호
  - 4489881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5. 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3,CVE-2019-0617,CVE-2019-0756,CVE-2019-0765,CVE-2019-0784)
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9-0683,CVE-2019-0808)
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9-0690,CVE-2019-0754)
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9-0614,CVE-2019-0703,CVE-2019-0704,CVE-2019-0755,CVE-2019-0759,CVE-2019-0767,CVE-2019-0775,CVE-2019-0782,CVE-2019-0821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 o 관련 KB번호
  - 4474419, 4489878, 4489885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6.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3,CVE-2019-0617,CVE-2019-0756,CVE-2019-0765,CVE-2019-0784)
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9-0683,CVE-2019-0808)
 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9-0690,CVE-2019-0754)
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9-0614,CVE-2019-0703,CVE-2019-0704,CVE-2019-0755,CVE-2019-0759,CVE-2019-0767,CVE-2019-0775,CVE-2019-0782,CVE-2019-0821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 o 관련 KB번호
  - 4489880, 4489876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7.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9,CVE-2019-0667,CVE-2019-0680,CVE-2019-0746,CVE-2019-0763,CVE-2019-0780,CVE-2019-0783)
 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19-0762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 o 관련 KB번호
  - 4489878, 4489873, 4489881, 4489873, 4489882, 4489872, 4489871, 4489886, 4489868, 4489899, 4489891, 4489873, 4489880, 4489873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8. 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609,CVE-2019-0746)
 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9-0592)
 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9-0611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긴급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9. Offic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이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문서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9-0748)

 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 o 중요도 : 중요

 o 관련 KB번호
  - 4462226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0. Visual Studio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NW/시스템 접근에 필요한 특정값을 탈취하거나 변조를 통해 접근제어를 우회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9-0757)

 o 영향 : 스푸핑

 o 중요도 : 중요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1. SharePoint Server, SharePoint Enterprise Serv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NW/시스템 접근에 필요한 특정값을 탈취하거나 변조를 통해 접근제어를 우회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9-0778)

 o 영향 : 스푸핑

 o 중요도 : 중요

 o 관련 KB번호
  - 4462208, 4462211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2. Lync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보안 강화 업데이트

 o 관련취약점 :
  - DID 취약점(CVE-2019-0798)

 o 영향 : DID

 o 중요도 : 중요

 o 관련 KB번호
  - 2809243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3. .NET Cor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공격자가 NW/시스템 접근에 필요한 특정값을 탈취하거나 변조를 통해 접근제어를 우회하는 취약점

 o 관련취약점 :
  - 스푸핑 취약점(CVE-2019-0757)

 o 영향 : 스푸핑

 o 중요도 : 중요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4. Team Foundation Serv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보안 강화 업데이트

 o 관련취약점 :
  - DID 취약점(CVE-2019-0777)

 o 영향 : DID

 o 중요도 : 낮음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
15.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 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

 o 관련취약점 :
  -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9-12 설명된 취약점

 o 영향 : DID

 o 중요도 : 낮음

 o 관련 KB번호
  - 4489907

□ 해결책
 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이전 글 애니위즈 홈페이지 구축 솔루션(위즈홈,위즈샵,위즈컴) 긴급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9. 03. 21

다음 글 Adobe 제품군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9. 03. 21

목록

무엇이든 물어보세요

아이티이지 전문가가 궁금하신 점을 쉽고 빠르게 해결해 드리겠습니다.

고객센터 1600-8324
내선번호
  • 내선 1 서버 / IDC

  • 내선 2 클라우드

  • 내선 3 관리대행 / ITO

  • 내선 4 도메인

  • 내선 5 보안 서비스 문의

  • 내선 6 문자 / 카카오비즈메시지

  • 내선 7 Microsoft365

  • 내선 8 마케팅/서비스 제휴

  • 내선 9 홈페이지 제작

  • 내선 0 기타서비스

  • 내선 11 긴급 장애

휴일 긴급 연락처010-3124-8320

평일 9:00~18:00 (IDC 긴급 장애처리 24시간 운영)

FAX 02-6264-8321

문의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