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EASY

닫기

추천 검색어
# 클라우드
# VPN
# 무료서비스
# 호스팅
# 이벤트
닫기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(ISMS)

MS 3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8. 03. 15

□ 3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4종)
o 등급 : 긴급(Critical) 4종, 중요(Important) 10종
o 발표일 : 2018.3.14.(수)
o 업데이트 내용
제품군중요도영향KB번호
Windows 10, Server 2016중요원격코드실행4088776 등 5개
Edge긴급원격코드실행4088779 등 5개
Windows 8.1, Server 2012 R2중요원격코드실행4088876 등 2개
Windows RT 8.1중요원격코드실행4088876
Windows Server 2012중요원격코드실행4088877 등 2개
Windows 7, Server 2008 R2중요원격코드실행4088875 등 2개
Windows Server 2008중요원격코드실행4089344 등 8개
Internet Explorer긴급원격코드실행4088875 등 9개
ChakraCore긴급원격코드실행-
.NET Core, ASP.NET Core, Powershell core중요권한상승4073392 등 2개
Exchange Server중요권한상승4073392 등 2개
Office중요원격코드실행4011665 등 39개
SharePoint Enterprise Server,
Project Server
중요권한상승4018293 등 6개
Adobe Flash Player긴급원격코드실행4088785
 

Windows 10, Server 2016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0885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11, CVE-2018-0813, CVE-2018-0814, CVE-2018-0878, CVE-2018-0888, CVE-2018-0894, CVE-2018-0895, CVE-2018-0896, CVE-2018-0897, CVE-2018-0898, CVE-2018-0899, CVE-2018-0900, CVE-2018-0901, CVE-2018-0904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816, CVE-2018-0817, CVE-2018-0868, CVE-2018-0881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83, CVE-2018-0886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긴급
 
o 관련 KB번호
- 4088779, 4088787, 4088786, 4088782, 4088776
 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Edge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Chakra 스크립팅 엔진이 Edge의 메모리에 있는 객체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79, CVE-2018-0891, CVE-2018-0927, CVE-2018-0932, CVE-2018-0939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72, CVE-2018-0873, CVE-2018-0874, CVE-2018-0876, CVE-2018-0893, CVE-2018-0930, CVE-2018-0931, CVE-2018-0933, CVE-2018-0934, CVE-2018-0936, CVE-2018-0937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긴급
 
o 관련 KB번호
- 4088779, 4088787, 4088786, 4088782, 4088776
 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Windows 8.1,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0833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816, CVE-2018-0817, CVE-2018-0868, CVE-2018-0881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11, CVE-2018-0813, CVE-2018-0814, CVE-2018-0878, CVE-2018-0888, CVE-2018-0894, CVE-2018-0895, CVE-2018-0896, CVE-2018-0897, CVE-2018-0898, CVE-2018-0899, CVE-2018-0900, CVE-2018-0901, CVE-2018-0904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83, CVE-2018-0886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번호
- 4088876, 4088879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Windows RT 8.1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18-0885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816, CVE-2018-0817, CVE-2018-0868, CVE-2018-0881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11, CVE-2018-0813, CVE-2018-0814, CVE-2018-0878, CVE-2018-0894, CVE-2018-0895, CVE-2018-0896, CVE-2018-0897, CVE-2018-0898, CVE-2018-0899, CVE-2018-0900, CVE-2018-0901, CVE-2018-0904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83, CVE-2018-0886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긴급
 
o 관련 KB번호
- 4088876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8-0885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816, CVE-2018-0817, CVE-2018-0868, CVE-2018-0881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11, CVE-2018-0813, CVE-2018-0814, CVE-2018-0878, CVE-2018-0888, CVE-2018-0894, CVE-2018-0895, CVE-2018-0896, CVE-2018-0897, CVE-2018-0898, CVE-2018-0899, CVE-2018-0900, CVE-2018-0901, CVE-2018-0904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83, CVE-2018-0886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번호
- 4088877, 4088880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Windows 7,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8-0885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815, CVE-2018-0816, CVE-2018-0817, CVE-2018-0868, CVE-2018-0881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11, CVE-2018-0813, CVE-2018-0814, CVE-2018-0878, CVE-2018-0888, CVE-2018-0894, CVE-2018-0895, CVE-2018-0896, CVE-2018-0897, CVE-2018-0898, CVE-2018-0899, CVE-2018-0900, CVE-2018-0901, CVE-2018-0904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83, CVE-2018-0886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번호
- 4088875, 4088878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
 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8-0885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815, CVE-2018-0816, CVE-2018-0817, CVE-2018-0868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11, CVE-2018-0813, CVE-2018-0814, CVE-2018-0878, CVE-2018-0888, CVE-2018-0894, CVE-2018-0895, CVE-2018-0896, CVE-2018-0897, CVE-2018-0898, CVE-2018-0899, CVE-2018-0900, CVE-2018-0901, CVE-2018-0904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83, CVE-2018-0886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번호
- 4089344, 4087398, 4089453, 4089175, 4073011, 4056564, 4088827, 4089229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
 

□ 설명
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942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91, CVE-2018-0927, CVE-2018-0929, CVE-2018-0932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89, CVE-2018-0935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긴급
 
o 관련 KB번호
- 4088875, 4089187, 4088779, 4088876, 4088787, 4088786, 4088782, 4088776, 4088877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ChakraCore 보안 업데이트
 

□ 설명
o 이용자가 Edge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메모리 정보가 노출되는 취약점
※ ChakraCore : Edg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, Cloud, 게임엔진, IoT 등에서도 사용
 
o 관련취약점 :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891, CVE-2018-0925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872, CVE-2018-0873, CVE-2018-0874, CVE-2018-0930, CVE-2018-0931, CVE-2018-0933, CVE-2018-0934, CVE-2018-0936, CVE-2018-0937, CVE-2018-0925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긴급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.NET Core, ASP.NET Core, PowerShell Core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Kestrel 웹 어플리케이션이 웹 유효성 검증 요청에 실패할 경우, 권한상승 취약점 존재
 
o 관련취약점 :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787)
-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8-0808, CVE-2018-0875)
 
o 영향 : 권한상승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번호
- 4073392, 4073537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Microsoft Exchange Outlook Web Access(ODA)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링크를 적절하게 삭제하지 못하는 경우 권한상승 취약점 존재
 
o 관련취약점 :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924, CVE-2018-0941)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940)
 
o 영향 : 권한상승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번호
- 4073392, 4073537
 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
Office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919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903, CVE-2018-0922)
- 보안기능우회 취약점(CVE-2018-0907)
 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 번호
- 4011665, 4011665, 4011234, 4011234, 3114416, 3114416, 4011675, 4011727, 4011675, 4018291, 4018291, 4011714, 4018291, 4011727, 4011023, 4011692, 4011709, 4011673, 4011673, 4011730, 4011695, 4011674, 4011674, 4011695, 4011695, 4011730, 4011720, 4011023, 4011709, 4011673, 4011673, 4018309, 4011692, 4011721, 4011674, 4011674, 4011695, 4011695, 4011695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SharePoint Enterprise Server 2010, 2013, 2016, Project Server 2013 보안 업데이트
 
□ 설명
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,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
 
o 관련취약점 :
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18-0909, CVE-2018-0910, CVE-2018-0911, CVE-2018-0912, CVE-2018-0913, CVE-2018-0914, CVE-2018-0915, CVE-2018-0916, CVE-2018-0917, CVE-2018-0921, CVE-2018-0923, CVE-2018-0944, CVE-2018-0947)
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18-0919)
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18-0922)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 
o 중요도 : 중요
 
o 관련 KB 번호
- 4018293, 4018305, 4011705, 4011688, 4018298, 4018304
 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 
 
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

□ 설명
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RT 8.1,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

o 관련취약점 :
-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8-05 설명된 취약점

o 영향 : 원격코드실행

o 중요도 : 긴급

o 관련 KB번호
- 4088785

□ 해결책
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


이전 글 Pivotal Spring 제품 취약점 업데이트 권고

2018. 03. 14

다음 글 Adobe 제품군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8. 03. 15

목록

무엇이든 물어보세요

아이티이지 전문가가 궁금하신 점을 쉽고 빠르게 해결해 드리겠습니다.

고객센터 1600-8324
내선번호
  • 내선 1 서버 / IDC

  • 내선 2 클라우드

  • 내선 3 관리대행 / ITO

  • 내선 4 도메인

  • 내선 5 보안 서비스 문의

  • 내선 6 문자 / 카카오비즈메시지

  • 내선 7 Microsoft365

  • 내선 8 마케팅/서비스 제휴

  • 내선 9 홈페이지 제작

  • 내선 0 기타서비스

  • 내선 11 긴급 장애

휴일 긴급 연락처010-3124-8320

평일 9:00~18:00 (IDC 긴급 장애처리 24시간 운영)

FAX 02-6264-8321

문의하기